애플페이 티머니 출시는 언제가능할까?

애플페이 가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지 7개월이 됐지만 여전히 제휴 카드사는 현대카드 뿐이다.

페이업계에 따르면, 카드사가 아닌 애플페이가 제휴에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몇몇 카드사들은 애플에게 애플페이에 제휴 의지를 피력했으나, 애플페이에서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제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업계에 에서는 애플페이와 제휴할 의지가 있으며 이를 애플페이에게도 알렸다며 그러나 애플페이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카드업계의 의견을 종합하면, 애플페이가 다른 카드사와의 제휴에 미온적인 것은 현대카드의 사례를 보고 한국 시장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1.애플페이 초반 성적

 

애플페이

 

당초 현대카드는 애플페이 제휴 서비스 출시 초기만 하더라도 신규 회원수가 급증하는 등 효과를 봤다.

애플페이 서비스가 출시된 다음 달인 올해 4월 현대카드의 신규회원 수는 166만명으로 타 카드사 대비 많게는 두 배 이상의 성적이다.

하지만 현대카드의 신규회원 수는 점차 줄어 6월부터는 타 카드사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낮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애플페이 교통카드

업계에 따르면, 당초 애플페이는 아이폰15를 출시하면서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능도 함께 선보이는 것이 목표였다.

앞서 애플은 iOS 개발자 문서에 지갑, 애플페이 결제 유형으로 티머니를 추가했으며, 필드테스트 또한 모두 마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수수료 협상에 계속 마찰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애플페이에 티머니 서비스를 탑재하기 위해선 신용카드와 애플, 티머니가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

관건은 신용카드사와 티머니의 수수료 문제다.

애플페이 서비스의 경우 수수료가 높은데다가 티머니 수수료까지 고려하면 남는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아직 티머니와 제휴를 한 곳이 없어 신용카드사 입장에선 첫 타자로서 수수료 협의를 잘 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게 된다.

또 애플이 티머니에게 애플페이 플랫폼 이용료를 청구할지는 미지수다.

 

3.애플페이 기능이 중요한 이유?

 

한편, 애플페이에 교통카드 기능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결제처의 다양화이다.

현재 알려진 애플페이의 주요 제휴처는 편의점, 마트, 카페, 백화점 등이다.

그만큼 제츄처는 경쟁서비스인 삼성 페이에 비해 너무 불리하다.

경쟁 서비스인 삼성페이의 경우 마그네틱보안전송(MST) 기술을 기반으로 전국의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기능도 된다.

특히 신용카드 업계에서 교통카드 기능을 주목하는 이유는 주거래 신용카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카드사의 러브콜에도 불구하고 애플이 움직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올해 안에 애플페이의 교통카드 기능은 탑재되기 어려울 것으로 다들 이야기 합니다.

결제 업계 관계자의 말로는  신용카드사들도 어떤 사업자가 먼저 교통카드 서비스를 할지 잠자코 보고 있는 분위기 라며 여기에 애플 또한 카드사들의 제휴에 대해 빠르게 피드백을 주고 있진 않은 상황 이라고 전했다.

 

4.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도입은?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이 안갯 속에 빠졌다. 애플이 신제품 아이폰 15시리즈를 출시하면서 국내 애플페이 교통카드 연동이 임박했다는 모두들 기대가 나왔지만, 비용 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교통카드사업자들은 모방일 기반 교통카드가 추가 비용 등으로 늘수록 부담이 커지는 구조라고 주장한다.

업계쪽 말에 따르면 애플과 티머니가 애플페이 교통카드 연동에 대한 합의는 이뤘지만, 비용부담에서 줄다리기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애플페이는 올해 초 우리나라에 도입됐지만, 현재 교통카드는 연동되지 않는다.

애플페이 사용이 가능한 EMV 기반 근거리무선통신(NFC반적인 비용체계 개편이 필요하며, 이번 협상에서 바로 잡아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설명했다.

이렇다 보니 업계 일각에서는 애플페이 국내 교통카드 연동 작업이 내년으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지급결제 전문가는 “모바일 기반 교통카드 연동으로 이용자가 늘거나 수익이 더 늘지는 않아 교통카드사업자가 선 듯 현행 구조를 그대로 받아들이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결국 누군가 부담을 더 하거나 손실을 감수해야 해 협의가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고 말했다.

Leave a Comment